김대중과 대한민국을 말한다/10. 국정원을 퇴사하고서 썸네일형 리스트형 51. “내보다 더 마이 아네” 대통령 선거일이 다가 왔다. 나는 내가 준 정보를 이병기 특보가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궁금했다. 도청의 위험을 무릅쓰고 공중전화로 이 특보에게 전화를 했다. 나는 그에게 “내가 직접 한 번 들어갈까요?”하고 물었다. 그는 선뜻 “들어 오라”고 했다. 대선을 3주 정도 남긴 2002년 11월 28일, 나는 급히 비행기표를 끊어 서울로 향했다. 그 때는 내가 다니던 학교의 기말고사 기간이었는데, 나는 학점 같은 건 신경 쓸 여유가 없었다. 서울에 도착한 다음날 한나라당 당사를 찾았다. 도착해 보니 마침 그 날이 한나라당이 1차 도청자료를 폭로하는 날이었다. 한나라당 특보실에서 기다리고 있는데, 한나라당의 젊은 보좌관들이 저희들끼리 수군대고 있었다. 그들은,“우리들은 너무 신사적이다. 민주당 놈들이 이런 자.. 더보기 50. “15억 달러랍니다” 나는 그때 가족들을 데리고 미국으로 피신한 후 커뮤니티칼리지에 등록하고, 틈틈이 미국 변호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런데, 2002년 중반에 접어들면서 김대중 측이 김대업을 앞세워 더러운 공작을 꾸미는 것을 보았다. 나는 나도 뭔가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알고 있는 사실만이라도 한나라당에게 알려야겠다고 결심하게 되었다. 광복절인 2002년 8월 15일, 나는 한나라당의 이병기 특보에게 인편으로 김대중의 노벨상 공작과 임동원의 간첩혐의에 대해 은밀히 알려주었다. 처음에는 윤여준 특보와 접촉해볼까 생각을 했으나, 이병기 특보가 더 적합한 사람 같아 보였다. 국정원 차장을 지낸 사람이니 노벨상 공작 등에 대해 이해가 더 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회창 후보 측이 김대중 측의 비열한 공작.. 더보기 49. 미국으로 피신하다 2001년 여름, 나는 임동원을 추적하는 일이 나의 혼자 힘으로는 턱 없이 벅찬 일이라고 생각했다. 주변에 도와줄 사람을 찾아보았다. 우선 생각나는 사람이 고향 지역구 국회의원인 한나라당 김용갑 의원이었다. 그를 찾아가 임동원씨의 간첩 혐의에 대해 설명하고 도움을 요청했다. 당시 김용갑 의원은 전립선암 수술을 받고 투병 중이었다. 그의 부인도 중풍으로 고생하고 있었다. 내가 도움을 요청할만한 처지가 아니었다. 그는,“확실한 증거가 없이는 아무런 도움을 줄 수 없다”고 말했다. 나는 힘없이 돌아 섰다. 미국에서 9/11 테러사건이 일어난 지 일주일 쯤 지난 후, 동아일보가 김형Ο 경제단장의 뇌물사건을 특종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검찰이 이용호 게이트 수사에서 사채업자인 이경자로부터 김형Ο 단장이 5,000.. 더보기 48. 북풍, 세풍, 안풍 김대중 정권 초기에 일어난 『북풍사건』은 좀 언급할 가치가 있을 법하다. 북풍사건은 당시 권력을 잡은 측의 일방적인 매도로 세상에 너무 잘못 알려진 측면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서, 당시의 사건들을 하나씩 복기해 보면 북풍사건이란 것이, “김대중 정권에서 주장한 것처럼 허무맹랑한 정치공작만은 아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북풍사건이란 지난 1997년, 안기부가 김대중 후보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대선판에 북한을 끌어 들이려 시도했던 일련의 정치공작을 통칭하는 말이다. 이른바 윤홍준 기자회견 사건, 오익제·김병식 편지 사건, 총풍사건 등이 북풍사건의 주요 줄거리였다. 안기부의 공작이 있었던 것은 부인하기 어렵지만, 그것이 아무런 배경이 없는 허무맹랑한 얘기만은 아니었다. 윤홍준 기자회견 사건이란,.. 더보기 47. 쪽방에 갇힌 대붕 회사를 나오기 하루 전날, 나는 작별인사를 드리기 위해 황 선생님을 찾아 뵈었다. 퇴사하고 나면 다시는 만나 뵐 수 없을 것 같았기 때문이었다. 전략1과에서 같이 근무했던 황 선생님 담당관인 유덕Ο 선배에게 특별히 청을 넣었다. 나는 황 선생과 개인적으로 특별한 친분은 없었으나, 2000년 1월에서 6월까지 매주 토요일 오전에 개최되었던 황 선생님의 인간중심철학 세미나에는 빠지지 않고 참석했기 때문에 서로 얼굴은 잘 알고 있었다. 나는 곶감 한 접을 사 들고 갔다. 황 선생님이 곶감을 좋아한다는 것은 황 선생 관리팀에 있던 동기 Ο일건이에게 들어서 알고 있었다. 그 전 해 추석 때에도 찾아가 안부를 묻고 싶었으나 사정이 여의치 못하길래, 곶감을 한 접 사서 보내드린 적이 있었다. 그 때 황 선생님은 『개.. 더보기 46. ‘김대중의 심장에 비수를…’ 2000년 10월 28일, 나는 7년 10개월간 몸 담았던 국정원을 떠났다. 김대중 정권이 들어선 후, 막연히 '잘되겠지'하는 기대감이 있었다. 김대중 대통령이 자신이 겪은 정치적인 고난의 의미를 잘 되새겨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완성하고, 고질적인 지역감정 문제도 극복해 주리라고 기대했다. 그런데, 나의 그런 바램이 순진한 희망으로 판명되는 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시간이 갈수록 기대가 실망으로, 실망이 분노로 변해 갔다. 나는 깊은 회의와 좌절감에서 빠져 들었다. 갑갑했다. 탈출구가 필요했다. 의논할 사람도 없었다. 사표를 생각하게 됐다. 국정원은 이직률이 매우 낮은 직장이다. 일반 사회의 직장들과는 비교할 수조차 없고, 다른 정부 부처 공무원들과 비교해도 국정원의 이직률은 가장 낮은 편이다.. 더보기 이전 1 다음